4.4. 이미지 압축하기

그림 3.21. JPEG 으로 저장하기 예제 이미지

JPEG 으로 저장하기 예제 이미지

이미지 크기를 줄이지 않고, 이미지의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압축 이미지 형식은 JPG으로, 이미지가 이미 JPG 형식이라고 하더라도 압축 레벨을 조정하여 이미지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를 압축하면 이미지 화질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적정한 값으로 압축해야 합니다. 또한 JPG 형식으로 압축을 반복하면 이미지 화질이 계속 떨어진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이미지를 JPG 파일로 저장하려면, 메뉴 모음에서 파일내보내기 메뉴를 선택하여 이미지 내보내기 대화 상자를 엽니다.

그림 3.22. 이미지 내보내기 대화 상자

“이미지 내보내기” 대화 상자

대화 상자의 파일 이름란에 원본 파일의 이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원본 파일이 JPG 형식이 아니라면, 파일 이름 끝의 확장자를 지우고, JPG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면 김프가 알아서 JPG 형식으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또는 파일 유형 목록(스크린샷에서 빨갛게 표시된 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 형식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김프에서 지원하는 파일 형식들은 사용자의 시스템에 설치된 라이브러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김프에서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JPG 항목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4.7절. “모드 변경하기”에 따라 이미지 모드를 변경한 뒤에 다시 시도합니다. 마지막으로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압축 화질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대화 상자가 열립니다.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대화 상자 기본값을 택하면 화질 저하없이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안전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그림 3.23.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대화 상자에서 낮은 화질값을 입력한 경우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대화 상자에서 낮은 화질값을 입력한 경우

이미지의 화질을 저하시키면, 이미지 파일 크기가 작아집니다. 하지만 이미지 화질이 너무 낮으면 보기가 좋지 않으므로, 이미지창에 미리보기 표시 옵션을 이용하여, 변경될 이미지의 화질을 확인합니다. 아래에는 화질에 따른 압축 결과 스크린샷이 있습니다. 스크린샷들에서 볼 수 있듯이 화질을 10으로 낮추면 이미지 파일 크기는 상당히 줄어들지만 이미지가 보기 흉하게 되고, 75로 설정하면 이미지의 손상이 거의 없이 적절한 파일 크기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지의 화질을 낮추면 원본 이미지보다는 화질이 떨어지게 되지만, 파일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웹페이지 등에 부담없이 게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림 3.24.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기 JPEG”

다음은 압축 정도에 따른 이미지의 화질 상태 비교입니다.

그림 3.25. 높은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높은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화질: 10; 파일 크기: 3.4 KiloBytes

높은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화질: 40; 파일 크기: 9.3 KiloBytes


그림 3.26. 적절한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적절한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화질: 70; 파일 크기: 15.2 KiloBytes

적절한 수준의 JPEG 압축의 예제

화질: 100; 파일 크기: 20,971 Bytes